CS/NETWORK (6) 썸네일형 리스트형 [네트워크 스터디 5주차] 네트워크 더 알아보기 📌 네트워크 더 알아보기 Q) 쿠키와 세션에 대해서 설명해주세요. 쿠키 서버에 인증하기 위한, 클라이언트의 정보를 클라이언트 단에 저장하는 값. 쿠키의 생성 단계 클라이언트가 서버에게, 페이지 정보 요청 서버는 클라이언트에 대한 쿠키 생성 후, HTTP 응답 헤더에 쿠키 포함하여 응답 클라이언트의 요청과 서버의 응답이 끝나면 HTTP의 비연결성으로 인해 연결 종료 새로운 요청 시, 이전에 받은 쿠키값을 보관하고 있다가 HTTP 요청 헤더에 값을 포함하여 요청 서버는 쿠키값을 보고 이전에 요청을 보낸 클라이언트를 인식하여 상태를 기억. 쿠키의 장점 별도의 인증 과정을 거치지 않고 서버가 나를 기억하도록 함. 쿠키의 단점 쉽게 수정이 가능하여, 악의적인 공격자에 의해 변조될 가능성이 크다. 따라서 중요하지 .. [네트워크 스터디 4주차] 네트워크 레이어 / IP 프로토콜 📌 네트워크 레이어, IP 프로토콜 Q) IP주소에 대해서 설명해주세요. IP (일반적으로 IPv4) 컴퓨터(노드)를 식별하기 위해 부여된 위치 주소. 네트워크 주소 + 호스트 주소로 구성되어 있음 지정한 IP주소에 패킷이라는 통신 단위로 데이터 전달 32비트 2진수로 표현 가능. 최대 2^32개 까지 가능.ex) 192. 168. 0. 103-> 11000000.10101000.00000000.01100111 Q) IPv4와 IPv6는 어떤 차이점이 있을까요? 구분 IPv4 IPv6 형태 127.0.0.1 2001:230:abcd:ffff:0000:0000:ffff:1111 표현 0~255 숫자 16진수 주소 길이 32비트 128비트 주소 개수 약 43억개(2^32) 거의 무한대(2^128) 품질 제어.. [네트워크 스터디 3주차] 신뢰적 데이터 전송의 원리 / TCP 📌 신뢰적 데이터 전송의 원리 Q) 슬라이딩 윈도우가 뭘까요? 슬라이딩 윈도우 - 데이터 통신에서 사용되는 흐름 제어 기법 중 하나 - 송신자와 수신자가 각각 윈도우라는 버퍼를 가지고 있으며, 윈도우의 크기에 따라 한 번에 보낼 수 있는 패킷의 개수가 결정됨 - 윈도우의 크기를 동적으로 조절하면서 효율적인 패킷 전송을 가능하게 함 동작 과정 1) 송신자는 윈도우의 크기만큼 패킷을 전송하고, 각 패킷에 순서 번호를 부여합니다. 2) 수신자는 패킷을 받으면 순서 번호에 따라 자신의 윈도우에 저장하고, 가장 작은 순서 번호를 가진 패킷부터 상위 계층으로 전달합니다. 또한 송신자에게 ACK(acknowledgement) 메시지를 보내어 받은 패킷을 확인합니다. 3) 송신자는 ACK 메시지를 받으면 자신의 윈도우.. [네트워크 스터디 2주차] HTTPS / DNS / UDP / 신뢰적 데이터 전송의 원리 📌 HTTPS Q) HTTPS에 대해서 설명해주세요. HTTPS = HTTP + SSL HTTPS : HTTP의 보안 보전. 데이터 전송의 보안을 강화하기 위해 암호화됨. 서버와 클라이언트 사이의 모든 통신 내용이 암호화된다. SSL이나 TSL 프로토콜을 통해 세션 데이터를 암호화함. HTTP 자체를 암호화 하는 것이 아니라, HTTP 메시지 Body를 암호화.(Header는 X) HTTPS 사용 목적 : 1. 데이터 기밀성(데이터를 어떻게 암호화 할 것인지) 대칭키 암호화 (대칭키 사용) 메시지 -> 인코더 -> 암호화된 메시지 대칭키 복호화 (대칭키 사용) 메시지 암호화된 메시지 비대칭키 복호화(공개키 복호화) (개인키 사용) 메시지 메시지A ↓ ↓ 암호화 해시 함수 암호화 해시 함수 ↓ ↓ 서버 해.. [네트워크 스터디 1주차] 컴퓨터 네트워크와 네트워크 레이어 / HTTP 프로토콜 📌 컴퓨터 네트워크와 네트워크 레이어 Q) 컴퓨터 네트워크에 대해서 설명해주세요. 컴퓨터 네트워크 : 노드들이 자원을 공유할 수 있게 하는 디지털 전기 통신망 중 하나.분산되어 있는 컴퓨터를 통신망으로 연결한 것.컴퓨팅 장치들은 노드 간 연결(데이터 링크)을 사용하여 서로에게 데이터를 교환 Q) 현대 컴퓨터 네트워크에서 데이터를 어떻게 전달할까요? Q) 라우터와 스위치에 대해 설명해주세요. 라우터(route+r) 스위치(switch) 역할 패킷을 목적지로 전달하기 위해 가장 빠른 경로 탐색 데이터의 목적지를 파악하여 적합한 경로로 스위칭 목적 다양한 네트워크를 동시에 연결 다양한 장치를 동시에 연결 데이터 형태 패킷 패킷, 프레임 계층 네트워크 계층(L3) 주로 데이터 링크 계층(L2) 식별자 IP 주소.. REST API API: 두개의 시스템이 서로 상호 작용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 데이터를 주고 받는 인터페이스 - 주로 REST API를 지칭 예시 Application(Ruby) -> Request URI(HTTP) -> REST API(Java) 이전 1 다음